기사상세페이지

서울시, 민간건축물 안전관리 '블록체인ㆍIoT' 최초 도입

입력 2021.06.06 21:29
수정 2021.06.07 08:05

SNS 공유하기

fa tw
  • ba
  • ka ks url
    '블록체인 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플랫폼' 구축
    블록체인 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플랫폼(안).jpg
    서울시 자료제공 - 블록체인 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플랫폼

     

    [서울=한국복지신문] 백광석 기자= 서울시가 노후 민간건축물 안전관리에 블록체인과 사물인터넷 (IoT) 융합 기술을 전국 최초로 도입해 위험요소를 실시간 자동으로 감지하고 예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춘다고 7일 밝혔다.

     

    이번 시스템은 ‘블록체인 기반 위험 구조물 안전진단 플랫폼’ 으로 12월부터 가동하고, 그동안 사람이 일일이 점검하던 현장ㆍ인력 중심의 건축물 안전관리를 넘어 디지털ㆍ데이터 기반으로 전환해 나간다는 목표다.

     

    건물에 IoT 센서를 부착해 기울기ㆍ균열 데이터를 실시간 측정하면,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이 데이터를 저장ㆍ분석해 정확성을 검증하고 구조물의 이상변화도 분석해 위험을 감지하고, 위험이 감지되면 자치구ㆍ건물소유자에게 경보알림이 문자로 전송돼 사전에 예방조치를 취할 수 있다.

     

    서울시ㆍ자치구ㆍ건물소유자는 PCㆍ스마트폰으로 구조물 상태 정보, 실시간 데이터를 언제든 상시 모니터링ㆍ조회할 수 있다.

     

    특히, 건축물 안전관리에 IoT가 조금씩 도입되고 있는 단계지만 블록체인과 IoT가 융합ㆍ활용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고, ‘블록체인’ 기술로 위ㆍ변조가 원천 차단돼 데이터의 투명한 이력관리가 가능하고 정확성과 보안성을 한층 강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서울시는 이번 플랫폼이 가동되면 위험상황을 사전에 인지해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투입되는 인력ㆍ시간 대비 즉각적ㆍ효율적으로 데이터를 확보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또 객관적 데이터에 기반한 투명한 이력관리로 각종 안전사고의 원인을 정확하게 규명하고, 그로 인한 분쟁, 안전관리 대책 수립에 근거자료로도 활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플랫폼의 관리 대상은 ▲재난위험 시설로 지정ㆍ관리되는 위험건축물 (DㆍE급), ▲30년이 경과한 소규모 노후 건축물 (미흡ㆍ불량 등급), ▲옹벽ㆍ인공 비탈면 같은 주택사면 (DㆍE급) 이다.

     

    이와 함께, 시는 우선 올 12월 약 46개 (동) 를 대상으로 시범 적용하고, 2022년부터는 서울 전역에 있는 824개 (2021년 5월 기준) 노후 민간건축물 전체로 확대한다는 계획이고, 대상을 자치구별로 선정해 건축물 소유자의 사전 동의를 거친 후 시행한다.

     

    한편, 이번 서울시 ‘블록체인 기반 위험 구조물 안전진단 플랫폼’ 사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ㆍ한국인터넷진흥원 주관 ‘2021 블록체인 시범사업’ 에 선정돼 추진케 됐으며, 국비가 지원되고, 민간이 기술적인 협력을 함께 해 완성도를 높이고 SKT는 IoT 센서 관련 기술을 지원하고, 방재시험연구원은 건축물의 이상변화를 보다 명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한다.

     

    김성보 서울시 주택건축본부장은 “코로나 팬데믹 영향으로 사회 전반적인 영역에서 4차 산업 도입이 가속화되고 있다” 며 “서울시도 이러한 사회적 흐름에 맞춰 건축물 안전관리에 신기술을 선도적으로 도입ㆍ적용해 시민들이 신뢰할 수는 건축행정을 구현해 나가겠고 ‘블록체인 기반 위험 구조물 안전진단 플랫폼’ 이 민간건축물 안전관리에 예측 가능성을 높여 각종 안전사고를 예방하도록 운영해 나가겠다” 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