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13 (월)

  • 맑음속초20.3℃
  • 맑음13.7℃
  • 맑음철원15.7℃
  • 맑음동두천14.6℃
  • 맑음파주12.4℃
  • 맑음대관령11.6℃
  • 맑음춘천14.3℃
  • 맑음백령도16.3℃
  • 맑음북강릉17.9℃
  • 맑음강릉20.6℃
  • 맑음동해13.9℃
  • 맑음서울17.0℃
  • 맑음인천14.8℃
  • 맑음원주16.0℃
  • 맑음울릉도13.8℃
  • 맑음수원14.1℃
  • 맑음영월13.7℃
  • 맑음충주13.1℃
  • 맑음서산13.6℃
  • 맑음울진14.1℃
  • 맑음청주17.7℃
  • 맑음대전15.3℃
  • 맑음추풍령10.7℃
  • 맑음안동14.5℃
  • 맑음상주16.6℃
  • 맑음포항15.9℃
  • 맑음군산13.9℃
  • 맑음대구16.1℃
  • 맑음전주15.6℃
  • 맑음울산12.9℃
  • 맑음창원14.6℃
  • 맑음광주16.3℃
  • 맑음부산15.3℃
  • 맑음통영14.3℃
  • 맑음목포14.3℃
  • 맑음여수16.2℃
  • 맑음흑산도14.0℃
  • 맑음완도15.2℃
  • 맑음고창12.1℃
  • 맑음순천10.9℃
  • 맑음홍성(예)14.0℃
  • 맑음12.2℃
  • 맑음제주16.5℃
  • 맑음고산15.4℃
  • 맑음성산14.6℃
  • 맑음서귀포16.3℃
  • 맑음진주12.7℃
  • 맑음강화13.9℃
  • 맑음양평15.1℃
  • 맑음이천16.9℃
  • 맑음인제12.5℃
  • 맑음홍천14.0℃
  • 맑음태백12.6℃
  • 맑음정선군10.7℃
  • 맑음제천12.5℃
  • 맑음보은12.3℃
  • 맑음천안12.4℃
  • 맑음보령11.8℃
  • 맑음부여12.1℃
  • 맑음금산12.6℃
  • 맑음14.6℃
  • 맑음부안14.0℃
  • 맑음임실12.0℃
  • 맑음정읍12.3℃
  • 맑음남원13.1℃
  • 맑음장수10.4℃
  • 맑음고창군11.8℃
  • 맑음영광군12.6℃
  • 맑음김해시15.0℃
  • 맑음순창군12.7℃
  • 맑음북창원15.7℃
  • 맑음양산시13.1℃
  • 맑음보성군11.9℃
  • 맑음강진군13.2℃
  • 맑음장흥12.6℃
  • 맑음해남12.4℃
  • 맑음고흥11.8℃
  • 맑음의령군13.0℃
  • 맑음함양군12.4℃
  • 맑음광양시14.6℃
  • 맑음진도군11.5℃
  • 맑음봉화10.6℃
  • 맑음영주16.5℃
  • 맑음문경16.5℃
  • 맑음청송군9.4℃
  • 맑음영덕10.6℃
  • 맑음의성11.0℃
  • 맑음구미14.6℃
  • 맑음영천12.6℃
  • 맑음경주시13.0℃
  • 맑음거창11.9℃
  • 맑음합천14.1℃
  • 맑음밀양14.0℃
  • 맑음산청13.3℃
  • 맑음거제12.4℃
  • 맑음남해14.0℃
  • 맑음13.4℃
기상청 제공
[전문가 컬럼] 스피치는 ‘연주’ 다!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문가 컬럼] 스피치는 ‘연주’ 다!

이만세 교수
前)전북과학대학교 방송연예 미디어과 전임교수
통통스피치, 빵터지는 유머, 68일 습관콘서트

이만세교수 사진제공-연주에 사연을 담다1.jpg
이만세 교수 사진제공 - 연주에 사연을 담다

 

[전문가 컬럼=한국복지신문] 김경화 기자= ‘말 하듯이 노래하고, 노래하듯이 말하라.’

 

흔히 노래하는 사람에게는 말 하는 것처럼 부르라 하고, 말하는 사람에게는 노래하듯이 말하라고 주문한다. 이유는 단순하다. 말 하듯이 노래해야 노랫말이 또렷하게 들려서 노래의 맛을 살려주고, 노래하듯 말해야 밋밋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들리기 때문이다.

 

‘혀와 입이 내 맘 같지 않다.’

‘내 소리가 내 맘 같지 않게 부자연스럽다.’

 

이제 ‘그 어려운 걸 해내는 나’로 다시 태어나자!

 

누구나 자기만의 음역대가 존재한다.

 

자신이 낼 수 있는 최저 음과 최고 음의 영역이 바로 ‘음역대’이다. 가수 아이유처럼 3옥타브까지 오르내릴 필요는 없다. 또한 고음이 아주 많이 올라갈 필요도 없다. ‘고음 불가‘여도 괜찮다. 다만, ‘고음 불가’와 ‘음치’를 헷갈려서는 안 된다. 말 그대로 ‘고음 불가’는 높은 음이 잘 안 올라가는 것이고, ‘음치’는 그 음을 제대로 못 내는 것이다.

 

그런데 어떤 이들은 고음이 잘 안 올라간다고 본인이 음치라고 생각한다. 전혀 다른 개념인데 말이다. 자신이 낼 수 있는 음역대 안에서 자유자재로 높낮이(高低)가 형성되고, 그 음을 제대로 맞게 소리 낼 수 있으면 된다. 이를 어조(語調) 즉, 말의 가락이라고 한다. 말에도 가락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소리의 강약, 고저(高低), 장단(長短) 등을 활용한 운율에 맞춰 리듬감 있게 말해야 한다. 이처럼 어조 형성이 잘 되어야만 자연스러운 말하기가 되며, 단조롭지 않아 듣기 좋고 편안한 말이 된다. 음역대가 굳이 넓지 않아도 운율에 맞춰 말을 하면, 건조하거나 딱딱한 기계 음 같지는 않다. 물론 음역대가 넓을수록 음의 고저(高低)가 크고 음(音)이 다양하기 때문에 보다 리드미컬하여 맛깔나는 소리가 될 수는 있을 것이다.


그러나 과유불급(過有不及)! 지나치게 유려할 필요는 없다. 자칫 화자가 부담스럽게 느껴져 오히려 진실성이 결여되어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

 

자신이 하는 말을 음절 단위로 오선지 위에 점을 찍고 다양한 곡선을 그려 보아라. 마치 음표가 살아 움직이는 아름다운 연주가 될 것이다. 나의 말에 힘을 싣고 싶다면... 나의 말에 영향력을 주고 싶다면... 평평한 ‘평조’에만 머무르지 말고 ‘상승조’와 ‘하강조’를 적절히 활용하여 효과적인 음성 연출을 시도해 보아라. 하루 이틀에 완성되지는 않겠지만 꾸준한 반복 연습과 실전에서의 높은 활용도는 당신 말의 ‘결’을 바꿔놓을 것이다. 그리고 그 ‘결’이 다른 당신의 말은 당신의 ‘격(格)‘을 한층 높여줄 것이다.

 

무한 반복! 지금 바로 시작이다.

나의 말이 음표가 되어 오선지 위에서 뛰어 놀게 하자!

 

비로소 ’그 어려운 걸 해내는 나‘를 스스로 발견하게 될 것이다.

 

◈ 본 전문가 컬럼은 한국복지신문과 방향이 다를 수 있습니다.

한국복지신문 김경화 기자 hwa371111@nate.com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