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상세페이지

인천시, 2021년 장애인 복지정책 본격 추진

입력 2021.03.15 12:53

SNS 공유하기

fa tw
  • ba
  • ka ks url
    전국 최초 목돈 마련 지원 등 복지기준선 사업 본격 시행
    [크기변환]인천 복지기준선 최종보고회-2021.10.29일-(1).JPG
    인천시 사진제공 - 인천 복지기준선 최종보고회 (2020.10.29일자)

     

    [인천=한국복지신문] 백광석 기자= 인천광역시는 올해 장애인 복지예산을 작년보다 286억 증액된 2852억 원 편성하고, 장애유형과 가구특성 등을 고려한 장애인 돌봄서비스 확대와 장애인의 인천복지 기준선 실현을 위해 만반의 준비를 끝내고 사업 추진에 박차를 가한다고 15일 밝혔다.

     

    올해는 사각지대 없는 튼튼한 복지 도시 조성을 위해 수립된 ‘인천 복지기준선’ 의 구체적인 시행 원년으로, 전국 최초ㆍ전국 유일하게 인천시에만 추진되는 사업들을 힘차게 추진한다.

     

    우선 인천복지 기준선 5대 영역 중 하나인 ‘소득 분야’ 지원을 위해 전국 유일 ‘청년 발달장애인 자산형성 지원사업’ 을 오는 5월부터 본격 시행한다.

     

    특히, 장애인의 소득지원 뿐만 아니라 지역 장애인들의 감염예방을 책임지기 위해 마스크 제작을 위한 ‘스마트 재활일터’ 장애인 직업재활시설이 식약청 허가 등 절차를 거쳐 본격 가동을 눈앞에 두고 있고 인천복지 기준선의 ‘돌봄 분야’ 로 추진되는 신규사업은 장애인의 지역사회 정착을 위한 탈 시설 전담기구의 필요성 공감으로 민ㆍ관이 함께 노력한 결실로, 장애인의 자립 제반사항 지원을 위한 '인천시 장애인 주거전환지원센터' (이하‘센터’) 를 설치ㆍ운영한다.

     

    또한, 이달 3월 본격적으로 운영된 ‘인천 장애인복지 플랫폼’ 홈 페이지는 전국 지자체 중 최초로 구축된 온라인 소통창구로, 시 장애인복지과 담당공무원들의 아이디어로 추진된 사업이며 지난 2004년부터 추진된 '장애인 자세유지기구ㆍ이동기기 보급' 사업은 장애 관련 자세유지기구 제작 기술과 전문 인력을 보유했을 뿐만 아니라 타 시ㆍ도의 벤치마킹도 어려운 인천만의 유일한 장애인복지 대표 사업으로 꼽힌다.

     

    아울러, 장애인의 지역사회 생활에 필요한 종합적인 재활서비스 지원을 위해 장애인복지관 10개소에 약 139억 원을 지원할 계획이며, 특히 장애인복지관의 운영비 및 사업비를 전년대비 5억 2700만  원을 증액 지원함으로써 재가 장애인의 재활자립과 복지증진을 도모하고, 지역 내 장애인 주간보호시설의 이용 대기자 해소를 위해 시설 10개소에 16명의 돌봄 인력을 추가 배치하고, 피해 장애인의 임시보호와 사회복귀를 지원하고자 피해 장애인 쉼터를 신규 설치해 4월부터 운영에 들어간다.

     

    이와 함께, 경인의료재활센터와 인천재활의원에 약 28억 원을 지원해 고품질 맞춤형 의료재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장비보강 및 시설개보수 추진 등 장애인 의료재활시설 인프라를 지속 확충해 나갈 계획이며 소아ㆍ청소년 재활프로그램 및 사회복귀 지원, 여성장애인 재활프로그램, 방문재활 서비스 등의 공공재활 프로그램도 지속하고, 시는 공백 없는 촘촘한 복지 그물망을 위해 돌봄서비스 부분의 예산을 지난해 1239억 원에서 올해 1450억 원으로 대폭 확대했다.

     

    신병철 시 장애인복지과장은 “인천시는 자세유지기구 보급 사업, 장애인복지 플랫폼 등 선도적인 지원책과 함께 인천형 복지 기준선에 따라 환경 변화와 장애인분들의 욕구에 부응할 수 있는 신규사업 발굴에도 적극 노력하고 있다” 며 “우리시 14만 6천여 명의 장애인 모두가 꿈과 희망을 펼칠 수 있도록 적재적소에 필요한 복지서비스를 적극 발굴ㆍ시행해 나가겠다” 고 말했다.